윈도우에서도 파이썬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다.

파이썬을 먼저 설치해야 하는데 설치방법은 무지 쉽다. 파이썬의 홈페이지(http://www.python.org/)에 가서 원하는 버전대의 windows installer 파일을 받아서 실행시키면 끝이다. 

그러나 나중에 여러 라이브러리를 설치할 때 애를 먹게 되는데, cmd 모드에서 python의 arguments를 넣어주어야 할 때이다. 이건 다음 글을 참고하자. (http://amornatura.tistory.com/56)


파이썬을 설치했다면 이제 easy_install과 pip를 설치하자.


1, Easy_install 설치

이것도 겁나게 쉽다. 단 위의 PATH 수정을 했을 경우이다. easy_install의 홈페이지에 가서 setuptools 를 다운로드 받는다. (https://pypi.python.org/pypi/setuptools/1.0#windows) 물론 최신버전을 받으면 된다. 근데 무엇을 다운로드 받아야 할까? ez_setup.py(https://bitbucket.org/pypa/setuptools/raw/bootstrap/ez_setup.py)를 다른이름으로 저장해준다.


그리고 cmd창에서 python ez_setup.py build 입력 후 python ez_setup.py install 해주면 끝.


2. PATH 수정

위의 56번글을 참고하여 PATH를 하나 더 추가해주자. 추가할 경로는 보통

C:\Python27\Scripts 이다.


3. pip설치

easy_install을 설치 & PATH추가 한 뒤에 cmd창에서 easy_install pip 이렇게 넣어주면 된다. ㅋㅋㅋㅋㅋ


윈도우에서도 PATH설정만 잘 해주면 파이썬을 손쉽게 즐길 수 있다.


1. 툴 설치

# svn checkout http://lz4.googlecode.com/svn/trunk/ lz4-read-only

# cd lz4-read-only

lz4-read-only# make

lz4-read-only# make install




2. 압축 해제

lz4-read-only# cd programs

lz4-read-only/programs# ./lz4 -l -d filename.lz4 filename_output


옛날 linux 시스템의 경우, passwd에 해쉬값을 저장한다.



hashid salt hash value 


예시 

root:$1$OaaE3jCl$R20qeJza5v/kby7CpSZ0j0:0:0:root:/root:/bin/ash






md5(PASSWORD + SALT)

cpio 파일이 뭐지??


root@kali:~/Desktop/_output.extracted# file 15080 

15080: ASCII cpio archive (SVR4 with no CRC)



해당 파일을 해제 하는 명령어

root@kali:~/Desktop/_output.extracted# cpio -i -F 15080







다시 압축하기

root@kali:~/Desktop/_output.extracted/output# find . | cpio -H newc -o > ../output.cpio

7737 blocks

'임베디드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ubuntu 에 searchsploit, findsploit 설치하기  (0) 2017.09.01
kali binwalk 삭제 후 다른버전 설치하기  (0) 2017.02.15
glibc 버전 확인하기  (0) 2016.03.24
lz4 latency 압축 해제하기  (0) 2015.05.14
linux shadow, passwd  (0) 2015.05.13



성공한다면, 

test_out.bin 이 압축 해제된 파일이다.

 


또는


 

 만약, test[::-1] 대신에 그냥 test를 사용한다면?


   


 이렇게 bc 라는 문자열이 남아있다.

 이유는? 'ab' 가 제거되고 리스트의 0번 인덱스로 'bc'가 설정되어 for문에서 'bc'가 들어가지 않는다.

 확실히 확인하기 위해 아래와 같이 for문에 a 변수를 출력해보면 알 수 있다.


 


+ Recent posts